카테고리 없음

중위소득 100% 150% 180% 기준 알아보기

bz1m 2025. 9. 16. 15:00
반응형

안녕하세요!
정부의 각종 복지 제도나 지원금을 확인하다 보면 **“가구 중위소득 100% 이하, 150% 이하, 180% 이하”**라는 조건을 자주 보셨을 거예요.
저도 처음엔 이게 정확히 무슨 뜻인지 헷갈렸는데, 알고 나면 복지 지원 자격을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.

오늘은 중위소득의 개념부터 100%·150%·180% 기준 금액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중위소득이란?

중위소득이란, 우리나라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.

👉 쉽게 말해, 절반은 이보다 소득이 많고 절반은 적은 기준선이에요.
👉 정부는 매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준 중위소득을 새롭게 발표합니다.
👉 이 기준은 기초생활보장제도, 각종 복지 지원금, 바우처의 자격 조건으로 활용돼요.


✅ 2025년 기준 중위소득 (1인~4인 가구 예시)

가구원 수100% 기준150% 기준180% 기준
1인 가구 약 2,200,000원 약 3,300,000원 약 3,960,000원
2인 가구 약 3,700,000원 약 5,550,000원 약 6,660,000원
3인 가구 약 4,750,000원 약 7,130,000원 약 8,550,000원
4인 가구 약 5,800,000원 약 8,700,000원 약 10,440,000원

※ 금액은 예시이며,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기준 중위소득 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
✅ 중위소득 100% · 150% · 180% 의미

  • 중위소득 100% 이하
    →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과 같거나 그보다 적음.
    → 기초생활보장, 차상위계층 지원 등에 활용.
  • 중위소득 150% 이하
    → 중위소득의 1.5배 이하.
    → 주로 청년 지원금, 육아 지원금, 에너지바우처, 교통비 지원 등에 자격 조건으로 적용.
  • 중위소득 180% 이하
    → 중위소득의 1.8배 이하.
    → 신혼부부·청년 전세대출, 의료비 지원, 교육비 지원 등 다양한 제도에서 활용.

✅ 내 가구가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방법

  1. 가구원 수 확인 : 주민등록등본 기준, 같은 주소에 살며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
  2. 가구 소득 합산 : 근로·사업소득, 이자·연금소득 등 포함
  3. 보건복지부 고시표 대조 : 해당 연도의 기준 중위소득표와 비교

👉 예를 들어, 4인 가구 소득이 8,000,000원이라면

  • 중위소득 100%(5,800,000원)보다는 많음
  • 150%(8,700,000원)보다는 적으므로 → 중위소득 150% 이하에 해당

📌 결론

✔️ 중위소득은 매년 정부가 발표하는 복지 지원의 기준선
✔️ 100%·150%·180%는 소득 수준에 따른 지원 자격 구분선
✔️ 반드시 가구원 수별 최신 기준표를 확인하고 신청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.

이제 복지제도나 지원금 신청할 때, 중위소득 기준이 나와도 헷갈리지 않으시겠죠? 😊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