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시가 운영하는 간편결제 서비스 서울페이+,
혜택도 좋고 앱도 편리한데...
정작 “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” 헷갈리셨던 적 있으신가요?
오늘은 서울페이 사용처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.
소비자, 소상공인, 자영업자 모두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예요!
1️⃣ 서울페이란? (서울페이+ 개요)
**서울페이+**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제로페이 기반 간편결제 플랫폼으로,
소상공인 결제 수수료 부담은 낮추고,
시민에게는 간편하고 할인까지 가능한 결제 혜택을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입니다.
✔️ 제로페이 기반 QR 결제
✔️ 서울시 예산이 투입된 모바일 상품권도 이용 가능
✔️ 연말정산 소득공제 40% 혜택도!
📱 서울페이+ 앱 설치 후 QR코드로 간편결제 가능
2️⃣ 서울페이 사용처 – 대표 업종별 예시
서울페이+는 대형 프랜차이즈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상공 매장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🏪 편의점
- CU, GS25, 이마트24 등 일부 가맹점 가능 (제로페이 제휴 여부 확인 필수)
🍜 음식점
- 동네 식당, 분식집, 카페 등 대부분 제로페이 등록 매장
- 배달앱 서울사랑상품권 결제 시 제휴점 일부 사용 가능
💇 미용·서비스업
- 미용실, 네일샵, 세탁소 등
- 특히 ‘제로페이’ 스티커가 부착된 매장
🛒 전통시장 및 마트
- 남대문시장, 경동시장, 통인시장 등
- 농협 하나로마트 일부 지점도 사용 가능
🚕 교통·이동수단
- 서울 택시 중 제로페이 QR 부착 차량
- 일부 주차장·공영시설 무인정산기에서 가능
3️⃣ 서울페이 사용처 확인 방법
서울페이+ 앱 또는 제로페이 홈페이지에서
내 주변 사용처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.
📍 사용처 확인 방법:
- 서울페이+ 앱 실행 → ‘가맹점 찾기’ 메뉴 클릭
- 현재 위치 기반 또는 업종별 검색 가능
- 제로페이 홈페이지 (www.zeropay.or.kr)에서도 확인 가능
💡 매장 외부에 ‘제로페이 가맹점’ 스티커가 있다면 사용 가능!
4️⃣ 서울페이 사용 시 주의사항
✅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대부분은 사용 불가
→ 예: 스타벅스, 맥도날드, 올리브영 등
✅ 제로페이 등록이 되어 있어야 결제 가능
→ 서울페이+는 제로페이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
✅ 일부 전통시장은 ‘현장결제’만 가능, 배달·온라인 불가
✅ 상품권 잔액 관리 필수
→ 서울사랑상품권 결제 시 부분 결제 불가 매장도 있음
5️⃣ 서울페이 사용처 늘리는 방법 (소상공인 대상)
소상공인·자영업자라면
서울페이+ 가맹점 등록을 통해 고객 유입을 늘릴 수 있습니다.
🔧 등록 방법:
- 제로페이 가맹 신청 (www.zeropay.or.kr)
- 사업자등록증, 계좌 등 제출
- 등록 후 QR 키트 수령 → 매장 부착
- 서울페이, 지역상품권, 간편결제 앱 등 자동 연동
💡 등록 비용 無 / 결제 수수료 0%
✅ 마무리 정리
서울페이 사용처 | 소상공 매장, 전통시장, 일부 편의점·택시 등 |
사용 방법 | 앱 설치 후 QR 결제 또는 상품권 등록 |
확인 방법 | 서울페이+ 앱 / 제로페이 홈페이지 |
주의할 점 | 프랜차이즈 불가, 가맹점 여부 확인 필요 |
서울페이 사용처만 잘 확인하면,
소비자도, 사장님도, 서울도 다 같이 이득입니다!